카테고리 없음

3GPP R6 23.002 네트웍 구조

quantapia 2010. 1. 27. 18:01

1. 정의

1.1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은 개인들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구성된 망이다. PLMN CS (서킷) 도메인에서는 MSC가 관장하는 영역들의 모임이고 PS (패킷) 도메인에서는 SGSN이 관장하는 영역들의 모임이며, 동일한 번호 체계와 라우팅 체계를 가진다. 고정통신망과 PLMN CS 도메인의 호 셋업을 위해서는 MSC를 이용하고, PS 도메인의 패킷 전송을 위해서는 GGSN SGSN을 이용한다.

 

1.2. CN AN (Core Network Access Network)

PLMN 인프라는 논리적으로 가입자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AN과 가입자 트래픽을 중계하는 CN으로 나뉘어진다. CN은 논리적으로 CS 도메인, PS 도메인, IM 서브시스템(IMS)로 나뉘어진다. AN GSM에서는 BSS라 불리며, UMTS에서는 RNS라 불린다.

 

1.3. CS, PS, IMS (Circuit Switched, Packet Switched, IP Multimedia Subsystem)

CS 도메인은 사용자 트래픽과 시그널에 대해 서킷 타입 커넥션을 제공하는 모든 CN 개체들의 모음을 의미한다. 서킷 타입 커넥션이란 특정 자원이 해당 커넥션만을 위해 설정되고 해제되는 커넥션을 의미한다. CS 도메인만을 위한 개체는 MSC, GMSC, VLR이 있으며, 일부 다른 개체들은 PS 도메인과 공유된다.

PS 도메인은 사용자 트래픽과 시그널에 대해 패킷 타입 커넥션을 제공하는 모든 CN 개체들의 모음을 의미한다. 패킷 타입 커넥션은 사용자 트래픽을 패킷 단위로 전송하며 해당 커넥션만을 위한 전용 자원을 갖지 않는다. PS 도메인만을 위한 개체는 SGSN GGSN이 있으며, 일부 다른 개체들은 CS 도메인과 공유된다.

IMS PS 도메인을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채팅 등의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CN 개체들로 구성된다. IMS만을 위한 개체는 CSCF, MGCF, MRF 등이 있다.

 

1.4. 위치 등록

단말기와 통신하려면 망이 단말기의 위치를 알아야만 하며, 위치 정보는 4가지 타입의 위치 등록장비에 저장한다.

HLR (Home Localtion Register) 는 이동통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등록장비이다.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MSC가 현재 자기 구역 내에 있는 로밍 가입자로/부터의 호를 다루기 위한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사용하는 위치 등록장비이다.

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에 등록된 각 가입자의 패킷 서비스를 위한 가입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SGSN GPRS를 지원하는 PLMN에서만 필요하다.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는 각 가입자의 가입 정보와 라우팅 정보(단말이 등록된 SGSN으로 데이터 패킷을 터널링하는데 필요한 라우팅 정보)를 저장한다. GGSN GPRS를 지원하는 PLMN에서만 필요하다.

 

1.5. Cell ()

셀은 기지국이 커버할 수 있는 무선 구역이다.

 

1.6. BSC (Base Station Controller) 구역

BSC 구역은 하나의 BSC가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셀들로 구성된 무선 구역이다. BSC 구역과 위치 구역은 서로 관계없이 독립된 영역을 가진다. , BSC 구역과 위치 구역은 임의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진다.

 

1.7.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구역

RNC 구역은 하나의 RNC가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셀들로 구성된 무선 구역이다. RNC 구역과 위치 구역은 서로 관계없이 독립된 영역을 가진다. , RNC 구역과 위치 구역은 임의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진다.

 

1.8. LA (Location Area)

위치 구역은 단말이 VLR에 위치 정보를 갱신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위치 구역은 하나 이상의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1.9. RA (Routing Area)

라우팅 구역은 단말이 특정 오퍼레이션 모드인 상태로 SGSN를 변경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라우팅 구역은 하나 이상의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라우팅 구역은 항상 하나의 위치 구역 내에 있어야 한다. , 하나의 위치 구역이 하나 이상의 라우팅 구역을 가질 수 있다.

 

1.10. MSC 구역

MSC 구역은 하나의 MSC가 커버하는 네트웍 부분이다. 하나의 MSC 구역은 하나 이상의 위치 구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MSC 구역은 하나 이상의 BSC 구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 구역과 BSC 구역은 서로 무관한 영역을 가지므로, MSC 구역이 가지는 위치 구역과 BSC 구역도 서로 무관한 영역으로 구성된다.

 

1.11. VLR 구역

VLR 구역은 하나의 VLR이 제어하는 네트웍 부분이다. 하나의 VLR 구역은 하나 이상의 MSC 구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1.12. SGSN 구역

SGSN 구역은 하나의 SGSN이 제어하는 네트웍 부분이다. 하나의 SGSN 구역은 하나 이상의 라우팅 구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SGSN 구역은 하나 이상의 BSC 구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SGSN 구역과 MSC/VLR 구역이 일대일 관계를 가질 필요는 없다.

 

1.13. 지역 가입 존 (Zones for Regional Subscription)

PLMN 사업자는 제한없는 모바일 가입자를 위한 서비스 구역의 서브셋인 지역 가입구역을 여러 개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지역 가입구역은 하나의 PLMN의 서비스 구역 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 두개 이상의 PLMN의 서비스 구역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각 지역 가입구역은 하나 이상의 존으로 구성되며, 각 존은 하나의 PLMN의 서비스 구역 내에 존재한다.

모바일 가입자의 지역 가입구역 정의는 PLMN의 국가 대상 코드 (National Destination Code) HLR에 저장되며 해당 PLMN VLR들과 SGSN들에 전송된다. VLR SGSN은 이 정보로부터 제한되거나 허용되는 MSC SGSN 구역들 및 모바일 가입자의 로밍이 허용되는 위치 구역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VLR SGSN은 전체 MSC SGSN 구역이 제한되면 HLR에 통지한다.

 

1.14. 서비스 구역

서비스 구역은 가입자 단말이 다른 가입자 단말에 연결하고자 할 때 구역 내에서의 다른 가입자 실제 위치 정보를 몰라도 연결이 가능한 구역이다. 서비스 구역은 복수개의 PLMN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하나의 서비스 구역은 한 국가일수도 있고, 국가의 일부이거나 여러 국가일수도 있다. 각 서비스 구역에 속한 위치등록시스템은 해당 서비스 구역 내에 위치한 모든 단말의 목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1.15. 그룹 호 구역

그룹 호 구역은 특별한 음성 그룹 호 서비스 (VGCS; Voice Group Call Service) 호나 음성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VBS; Voice Broadcast Service) 호에 접속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셀들로 구성되는 사전정의된 구역이다. 그룹 호 구역은 네트웍에서 미리 정의되며, 하나 이상의 MSC 구역의 셀들과 하나 이상의 PLMN의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1.16. 풀 구역 (Pool Area)

풀 구역은 RAN 노드들로부터 복수개의 CN 노드들로의 도메인 내 커넥션이 적용되는 구역이다. 풀 구역 내에서 단말은 서비스 받고 있는 CN 노드들을 바꾸지 않고도 로밍할 수 있다. 풀 구역은 하나 이상의 CN 노드들이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다.

 

2. 기본적인 모바일 시스템

 

2.1 CN 시스템 (PS CS 도메인에 공통)

2.1.1 HSS (Home Subscriber Server)

HSS는 사용자 정보에 대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이며, 실제로 호/세션을 다루는 망개체를 지원하기 위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홈 네트웍은 하나 이상의 HSS를 둘수 있으며, 그 수는 가입자 수, 장비 용량, 네트웍 구성에 따라 결정된다.

HSS에 저장되는 가입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사용자 식별정보, 번호, 주소 정보

-       사용자 보안정보, 인증과 권한에 대한 망접속 정보

-       시스템들 사이의 사용자 위치 정보

-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HSS는 상호인증, 통신 무결성 확인 및 암호화을 위한 사용자 보안 정보를 만들어 낸다. 이 정보를 기초로 HSS는 사업자의 도메인들과 서브시스템들 사이의 호 제어 및 세션 관리를 지원한다.

HSS는 다음 기능을 제공한다.

-       CSCF 같은 IM 서브시스템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IP 멀티미디어 기능. 이 기능은 가입자가 IM CN 서브시스템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해주는데 필요하다. 이 기능은 IM CN 서브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어떤 AN을 사용했는지와는 무관한다.

-       PS 도메인에서 필요한 HLR/AUC 기능 일부.

-       CS 도메인에서 필요한 HLR/AUC 기능 일부. 이 기능은 가입자가 CS 도메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거나 기존 GSM/UMTS CS 도메인 네트웍으로의 로밍을 제공하려는 경우에 필요하다.

2.1.2 HLR

HLR은 다음 기능을 가지는 HSS의 일부분이다.

-       Gr Gc 인터페이스를 통해 SGSN GGSN, D’/Gr’ 인터페이스를 통해 I-WLAN에 대한 3GPP AAA 서버에 PS 도메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

-       C/D 인터페이스를 통해 MSC/MSC 서버, GMSC/GMSC 서버같은 CS 도메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

 

2.1.3 AuC (Authentication Centre)

AuC CS PS 도메인을 위해 다음 기능을 가지는 HSS의 일부분이다.

-       AuC HLR과 연합하여 해당 HLR에 등록된 각 모바일 가입자를 위한 식별키를 저장한다. 이 키는 각 가입자를 위한 보안 데이터 (IMSI와 네트웍의 상호인증 데이터,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경로에 대한 통신 무결성 체크를 위해 사용하는 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경로에 대한 통신을 암호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       AuC H 인터페이스라 부르는 비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관된 HLR과만 통신한다. HLR H 인터페이스를 통해 AuC로부터 인증과 암호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어 저장하고 그 데이터를 단말의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로 하는 VLR SGSN에 전달한다.

 

2.1.4 VLR

하나의 MSC 구역 혹은 하나의 풀 구역 내에서 로밍하는 단말은 VLR에 의해 제어된다. 단말이 새로운 위치 구역에 들어가면 등록 절차를 시작한다. 해당 구역을 담당하는 MSC가 이 등록절차를 파악하여 단말이 위치한 위치 구역의 식별정보를 VLR에 전송한다. 이 단말이 아직 VLR에 등록되지 않았으면, VLR HLR은 단말이 관련된 호를 적절히 다룰 수 있도록 정보를 교환한다.

하나의 VLR은 하나 이상의 MSC 구역을 관장한다.

VLR은 호 셋업을 다루는데 필요하거나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지며, 이 정보는 다음과 같다.

-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       MSISDN (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       MSRN (Mobile Station Roaming Number)

-       TMSI (Temporary Mobile Station Identity)

-       LMSI (Local Mobile Station Identity)

-       단말이 동록된 위치 구역

-       단말이 등록된 SGSN의 식별정보. GPRS를 지원하고 MSC/VLR SGSN 사이에 Gs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PLMN들에만 적용됨.

-       마지막으로 단말이 있었다고 알려진 위치와 초기 위치

 

2.1.5 EIR (Equipment Identity Register)

GSM 시스템에서 EIR은 망에서의 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저장하는 논리적 개체이다. 장치(equipment)화이트 리스트”, “그레이 리스트”, “블랙 리스트로 분류되며, 명시되지 않을수도 있다.

 

2.1.6 SMS-GMSC (SMS Gateway MSC)

SMS-GMSC SMSC PLMN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여 서비스 센터로부터 단말로 단문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한다. 어떤 MSC들이 SMS-GMSC 역할을 할 것인지는 네트웍 사업자가 선택할 문제이다.

 

2.1.7 SMS-IWMSC (SMS Interworking MSC)

SMS-IWMSC PLMN SMSC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여 단말로부터 서비스 센터로 단문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한다. 어떤 MSC들이 SMS-IWMSC 역할을 할 것인지는 네트웍 사업자가 선택할 문제이다.

 

2.1.8 SLF (Subscription Locator Function)

I-CSCF는 등록과 세션 셋업 중에 필요한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HSS 명을 SLF에 요청한다. 또한 등록 중에는 S-CSCF에서도 요청한다.

AS (어플리케이션 서버)Sh 인터페이스 처리 중에 필요한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HSS 명을 SLF에 요청한다.

3GPP AAA 서버도 필요한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HSS 명을 SLF에 요청한다.

SLF CSCF의 경우 Dx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AS의 경우 Dh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3GPP AAA 서버의 경우 Dw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한다.

SLF HSS가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필요가 없으며, AS에 사전정의된 HSS를 사용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도 필요가 없다.

 

2.2 CS 도메인 개체

 

2.2.1 MSC (Mobile-services Switching Centre)

MSC는 무선 시스템과 고정 네트웍 간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MSC는 단말로/부터의 서킷 교환 서비스를 다루는데 필요한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지리적으로 일정한 구역을 무선으로 커버하기 위해서는 대개 여러 개의 BSS RNS가 필요하기 때문에, MSC는 하나 이상의 BSS, RNS와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국가 단위를 커버하기 위해 여러대의 MSC가 필요할수도 있다.

RAN 노드들로부터 CN 노드들로의 도메인 내 커넥션의 경우 하나의 풀 구역을 서비스하는 모든 MSC들은 풀 구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단말들을 서비스할 책임을 공유하기 때문에, 이런 모든 MSC들은 풀 구역를 구성하는 모든 BSS RNS에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MSC MSC 구역으로 지정되는 지리적 구역에 존재하는 단말에 교환과 시그널링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이다. MSC와 고정 네트웍의 교환기 사이의 차이점은 MSC는 무선자원 할당과 가입자의 이동이라는 특성을 감당해야 한다는 점과 위치 등록 및 핸드오버에 필요한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MSC는 필요한 경우 시그널링만을 다루는 MSC 서버와 사용자 데이터를 다루는 CS-MGW로 구성될 수 있다.

 

2.2.2 MSC 서버

MSC 서버는 주로 MSC의 호 제어 (CC; Call Control)와 이동성 제어 부분을 구성한다. MSC 서버는 CS 도메인 호에 대해 단말 발신/착신 호제어를 담당한다. MSC 서버는 가입자의 서비스 데이터 및 CAMEL 관련 데이터를 가지는 VLR을 포함한다.

 

2.2.3 CS-MGW (Circuit Switched - Media Gateway Function)

CS-MGW는 망에서 PSTN/PLMN의 전송 종단점이며 Iu 인터페이스를 통해 UTRAN CN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CS-MGW는 서킷 교환망으로부터의 베어러 채널과 패킷망으로부터의 미디어 스트림을 종단시키기도 한다. Iu 인터페이스에서 CS-MGW는 미디어 변환, 베이러 제어, 페이로드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CS-MGW는 리소스 제어를 위해 MGCF, MSC 서버, GMSC와 연동하고, 에코 캔슬러와 같은 자원을 보유하고 다루며, 코덱을 가지고 있다. CS-MGW UMTS/GSM 전송 미디어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코덱과 프레임 프로토콜을 추가로 지원하려면 H.248 (MEGACO)이 필요하다.

 

2.2.4 GMSC (Gateway MSC)

PLMN으로 호를 보내는 망이 HLR에 직접 문의하지 못하는 경우 호는 특정 MSC로 라우팅된다. MSC가 적당한 HLR에 문의해서 단말이 위치한 MSC로 호를 라우팅한다. 단말이 실제 위치로의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는 MSC GMSC라 한다. 어떤 MSC들을 GMSC로 선택할 것인지는 사업자가 결정할 문제이다.

필요한 경우 GMSC는 시그널링만 다루는 GMSC 서버와 CS-MGW로 구성할 수 있다.

 

2.2.5 IWF (Interworking Function)

IWF MSC에 관련된 개체이다. IWF PLMN과 고정망 (ISDN, PSTN, PDN) 간의 연동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IWF의 기능은 고정망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고정망 타입에 의해 결정되며, PLMN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고정망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변환하는데 필요하다.

 

2.3 PS 도메인 개체

 

2.3.1 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의 위치 등록 기능은 패킷 데이터 전송의 송수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두가지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       가입 정보 (IMSI, 하나 이상의 임시 식별정보, 0개 이상의 PDP 주소)

-       위치 정보 (단말의 동작 모드, 단말이 등록된 셀이나 라우팅 구역에 따른 위치 정보, Gs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관련 VLR VLR 번호, 액티브 PDP 컨텍스트가 존재하는 각 GGSN의 주소)

 

2.3.2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의 위치 등록 기능은 HLR SGSN으로부터 받은 가입자 데이터를 저장하며, 패킷 데이터 전송의 송수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두가지 타입의 가입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       가입 정보 (IMSI, 0개 이상의 PDP 주소)

-       위치 정보 (단말이 등록된 SGSN 주소)

 

2.3.3 BG (Border Gateway)

BG GPRS를 제공하는 PLMN(GPRS를 제공하는 다른 PLMN들과의 연동에 필요한 외부 PLMN) 백본 네트웍 사이의 게이트웨이이다. BG의 역할은 PLMN과 가입자를 보호하기 위해 적당한 레벨의 보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2.4 AN 개체

 

2.4.1 BSS (Base Station System)

BSS MSC가 하나의 A 혹은 Iu-CS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특정 구역의 단말과 통신하는데 필요한 개체인 것으로 인식하는 기지국 장치 (트랜시버, 컨트롤러 등) 시스템이다. 비슷한 개념으로 GPRS를 지원하는 PLMN들에서는 하나의 Gb 혹은 Iu-PS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SGSN BSS를 인식한다.

BSS의 무선장치는 하나 이상의 셀을 지원할 수 있다. 하나의 BSS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 구성될 수 있다. Abis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경우, BSS는 하나의 BSC (Base Station Controller)와 하나 이상의 BTS (Base Transceiver Station)으로 구성된다.

 

2.4.2 RNS (Radio Network System)

RNS MSC가 하나의 Iu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특정 구역의 단말과 통신하는데 필요한 개체인 것으로 인식하는 기지국 장치 (트랜시버, 컨트롤러 등)이다. 비슷한 개념으로 GPRS를 지원하는 PLMN들에서는 하나의 Iu-PS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SGSN RNS를 인식한다. RNS는 하나의 RNC (Radio Network Controller)와 하나 이상의 Node B로 구성된다.

 

2.4 MS (Mobile Station)

단말은 PLMN 가입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다. 단말은 모바일 장치(ME; Mobile Equipment)와 가입자 식별 모듈(USIM; 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로 구성된다.

 

2.5 CAMEL (Customized Applications for Mobile network Enhanced Logic) 개체

 

2.5.1 gsmSCF (GSM Service Control Function)

사업자별 서비스를 구현하는 CAMEL 서비스 로직을 가지는 기능 개체이며, gsmSSF, gsmSRF, HLR과 연동한다.

 

2.5.2 gsmSSF (GSM Service Switching Function)

MSC/GMSC gsmSCF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 개체이다.

 

2.5.3 gsmSRF (GSM Specialised Resource Function)

특별하고 다양한 자원들을 제공해 주는 기능 개체이며, gsmSCF, MSC와 연동한다.

 

2.5.4 gprsSSF (GPRS Service Switching Function)

SGSN gsmSCF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 개체이다.

 

2.6 IMS 개체

 

2.6.1 CSCF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CSCF는 프락시 CSCF (P-CSCF), 서빙 CSCF (S-CSCF), 문의 CSCF (I-CSCF)로써 동작할 수 있다. P-CSCF IMS 단말이 처음으로 접촉하는 CSCF이다. S-CSCF는 네트웍에서 세션 상태를 실제로 다루는 CSCF이다. I-CSCF는 주로 사업자 네트웍에서 해당 사업자의 가입자 혹은 현재 해당 사업자 네트웍에 존재하는 로밍 가입자로의 모든 IMS 커넥션을 위해 접촉하는 CSCF이다.

 

2.6.2 MGCF (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MGCF IMS-MGW 내의 미디어 채널에 대한 연결 제어에 관계된 호 상태를 제어하고, CSCF와 연동하고, 레거시 네트웍으로부터의 착신 호에 대해 라우팅 번호에 따라 CSCF를 선택하고, ISUP IMS 호 제어 프로토콜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며, 아웃 밴드 정보를 MGCF로부터 받아서 CSCF/IMS-MGW로 포워딩한다.

 

2.6.3 IMS-MGW

IMS-MGW는 회선교환망으로부터의 베어러 채널과 패킷망으로부터의 미디어 스트림을 종단시킨다. IMS-MGW는 미디어 변환, 베이러 제어, 페이로드 처리 (코덱, 에코 캔슬러, 컨퍼런스 브리지)를 지원하며, 자원 제어를 위해 MGCF와 연동하고, 에코 캔슬러와 같은 자원을 보유하고 다루며, 코덱을 가질 필요가 있다. IMS-MGW UMTS/GSM 전송 미디어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들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6.4 MRFC (Multimedia Resource Function Controller)

MRFC MRFP 내의 미디어 스트림 자원들을 제어하고, AS S-CSCF로부터 오는 정보를 해석한 것을 바탕으로 MRFP를 제어하며, CDR을 생성한다.

 

2.6.5 MRFP (Multimedia Resource Function Processor)

MRFP Mb 참조점의 베어러를 제어하고, MRFC가 제어하는 자원을 제공하고, 수신 미디어 스트림들을 믹싱하고, (멀티미디어 공지를 위해) 미디어 스트림을 발생시키고, (오디오 트랜스코딩, 미디어 분석 등의) 미디어 스트림을 처리하고, (컨퍼런스 환경에서 공유자원에 대한 접근권한을 관리하는 것과 같은) 발언권 제어를 수행한다.

 

2.6.6 BGCF (Breakout Gateway Control Function)

BGCFPSTN으로 연결할 망을 선택하고 MGCF를 선택한다.

 

2.6.7 AS (Application Server)

SIP 어플리케이션 서버, OSA 어플리케이션 서버, CAMEL, IM-SSF 같은 AS들은 부가된 IM 서비스들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홈 네트웍이나 서드파티 망에 위치한다.

OSA AS IMS 망 개체와 직접 연동하는게 아니라 OSA SCS들을 통해서 연동하게 된다.

AS Sh/Si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HSS와 연동할 수 있다.

 

2.6.8 SGW (Signalling Gateway Function)

SGW SS7 기반 시그널링 전송과 IP 기반 시그널링 전송 사이의 전송 레벨 시그널링 변환을 수행한다. SGW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를 분석하지는 않지만 시그널을 제대로 라우팅하기 위해서 SCCP SCTP 계층은 분석해야 한다.

 

2.6.9 SEG (Security Gateway)

UMTS 망은 IP 기반 제어 시그널링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안 도메인을 논리적으로, 물리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런 보안 도메인은 대개 사업자의 망 경계에 위치하게 된다.

다른 보안 도메인들간의 인터페이스는 SEG들에 의해 보호된다. SEG IP 보안 도메인의 보안 정책을 목적 IP 보안 도메인의 다른 SEG들에 맞추도록 한다.

 

2.6.10 AF (Application Function)

AF IP 베어러 자원 제어나 흐름 기반 베어러 과금 제어를 요하는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개체이다. AF는 동적인 QoS관련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PDF와 연동하고, 도엊ㄱ인 과금관련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CRF와 연동한다.

AF의 예로는 IMS P-CSCF를 들 수 있다.

 

2.6.11 PDF (Policy Decision Function)

PDF IP 베어러 자원에 대해 서비스 기반의 로컬 정책 제어를 위한 정책결정을 수행한다.

 

2.6.12 WLAN UE

WLAN UE 3GPP 서비스 사용을 목적으로 WLAN 망에 접속하는 3GPP 가입자가 사용하는 UICC 카드를 가지는 사용자 장치이다.

 

2.6.13 3GPP AAA Proxy

3GPP AAA Proxy는 프록시 기능과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AAA를 말하며, 방문 3GPP 망에 존재한다. 3GPP AAA Proxy WLAN UE의 접근 및 서비스의 인증 및 권한 제어에 관여한다.

 

2.6.14 3GPP AAA Server

3GPP AAA Server 3GPP 망에 있으면서, WLAN UE의 접근 및 서비스의 인증 및 권한 제어를 수행한다.

 

2.6.15 WAG (WLAN Access Gateway)

WAG WLAN 3GPP망 사이의 게이트웨이이며, WLAN UE 3GPP망 사이의 트래픽에 대해 필터링, 정책 수행, 과금 기능을 제공한다.

 

2.6.16 PDG (Packet Data Gateway)

PDG WLAN UE에 대해 PS 기반 서비스 접근을 제공하며, 홈 네트웍이나 방문 3GPP 망에 위치한다.

 

2.6.17 CRF (Charging Rules Function)

CRF는 흐름 기반 과금 기능 제어를 담당한다. CRF는 적용할 과금 규칙을 선택하여 GGSN에 제공한다.

 

 

3. 망구성

 

3.1 CS PS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PLMN의 기본 구성

  

 

3.2 SMS 서비스 구성

  

 

3.3 CAMEL 구성

 

 

3.4 IMS 구성

 

 

3.5 IMS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능적 구조

 

 

3.6 SGW 구성

 

 

3.7 3GPP WLAN 연동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