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 국내에서는
. Cellular 계열의 UMTS와 CDMA2000
. *1) WMAN 계열의 WIBRO (WiMAX)
. *2) WLAN
. *3) WPAN
의 무선방식이 존재한다. 위와 같이 다양한 무선 방식간의 Handover가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기종만간의 Handover는 현재 3GPP, 3GPP2, IETF등에서 규격이 진행되고 있다.
2. 이기종 무선망간 Handover 표준화 개요
- 무선망과 관련된 표준 단체
. 3GPP
I-WLAN(Interworking-WLAN): GSM/UMTS망과 WLAN간의 Interworking 위한 표준 규격. 무선망간 Handover 보다는 인증을 포함함 security 처리, billing/accounting등의 목적으로 규격 정의
GAN(Generic Access Network): 이전에 UMA(Unlicensed Mobile Access)라고 불리어졌으며 3GPP로 표준화 되면서 GAN으로 변경. 주로 GSM과 WLAN간의 연동을 정의하는데 주로 음성 Handover에 사용.
Mobike, VCC(Voice Call Continuity): 상위 layer handover를 정의한 것으로 physical layer와 MAC layer는 정의하지 않음. Mobike는 주로 IP layer security 관련 규격으로IPSec과 거의 유사한 개념으로 이기종망간 security 관련 사항을 정의. VCC는 cellular와 WLAN간의 음성 Handover를 정의하고 있다. VCC는 IMS망이 구축되어 있고, VoIP 서비스 제공시 기존 CS호와의 연속성을 위하여 도입이 필요하다.
. 3GPP2
GAN
VCC
- IP 관련 표준 단체
. IETF
MIH (Media Independent Handover): layer 1과 layer 2만 정의함으로써 사업자가 원하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
- 향후 발전 가능성이 많은 것은 VCC와 MIH이다.
3. 이기종 무선망간 Handover 세부 기술
- I-WLAN: 3GPP에서 표준화가 완료(R9.0)되었다. 이것은 UMTS와 WLAN간의 AAA를 통한 인증 및 과금등을 공유하여 이들간의 동일한 *4) PS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I-WLAN을 위한 핵심 요소는 *5)WAG와 *6)PDG이다. WAG와 PDG를 정의하여 Core network와 연동이 된다. 사업자에게 위험 부담이 존재한다.
- GAN: GAN은 호처리의 기본적이 개념은 core network에서는 GSM망과 WLAN을 동일한 무선망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SM의 RAN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노드가 WLAN에서도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이를 *7) GANC(UNC)라 한다. 이러한 원칙은 기존의 core network에 영향을 최소로 하여 투자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주로 음성 handover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규격적으로 PS 서비스도 제공 가능한 구조.
- VCC: 기본적으로 UMTS의 CS 음성호와 WLAN의 VoIP로 handover(양방향)을 위한 것으로 *8) IMS domain의 signaling을 근간으로 처리된다. 사업자 측면에서 구축 및 운용이 매우 용이. VCC는 표준화 관점에서 볼때 Layer 3이상의 상위 layer handover를 정의.
- MIH: IEEE802.21을 MIH라고 하며, 해당하는 link는 무선 망인 cellular와 IEEE 계열 (WLAN, WiMAX, WPAN)이 포함 된다. 기본적으로 MIH는 layer1, layer2의 handover에 관심을 갖는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 설명하면
802.11 규격은 WLAN 관련 규격이고
802.16 규격은 WIBRO (WiMAX)와 관련 규격이고
802.3 규격은 이더넷 관련 규격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할 것 같다.
그림. MIH 기본 개념
4. 결론 (개인 의견)
- 위와 같이 이기종망간의 다양한 Handover 기술이 존재한다. 개인적으로는 ETRI와 MIH의 Information Service에 대하여 연구과제를 수행한 바 있어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기도 했다. ETRI와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 이기종망간의 Handover가 링크(layer 1, layer 2)에서만 수행되면 모든게 다 가능할 것으로 생각했지만 링크 위 계층에 대하여도 다양한 handover 기술이 존재하는 것을 참조 문서를 보면서 알게 되었다. 현재는 Dual band, Dual Mode가 기본이고 심지어 KT에서는 Triple Band, Triple Mode (3W: WCDMA, Wi-Fi, WIBRO) 단말이 출시되었으니 멀지 않은 장래에 링크에 대한 이기종간 handover 및 상위 계층에의 handover도 비약적으로 도약할 것으로 판단된다.
*1) WMAN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2)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3)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MAN > WLAN > WPAN의 규모로 생각하면 된다.
*4) PS (Packet Switched)
*5) WAG (WLAN Access Gateway)
*6) PDG (Packet Data Gateway)
*7) GANC(UNC) (GAN Controller)
*8) IMS (IP Multimedia System)
출처: TTA Journal No. 113 - IT Standard & Test
3GPP TS 23.234 - Rel 9.0
3GPP TS 43.318 - Rel 9.0
3GPP TS 23.507 - Rel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