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tip & tech

[스크랩] HTTP Header

quantapia 2007. 8. 13. 14:02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 HTTP/1.1

(Korean Version 1.0)

305-350,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동 161번지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멀티미디어표준연구실
김 용 운
E-mail : qkim@pec.etri.re.kr
URL : http://pec.etri.re.kr/~qkim/
Abstract: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이며, 분산환경 및 공동작업 환경에 이용할 하이퍼미디어 정보시스템의 개발을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로서 WWW에서의 하이퍼텍스트 문서의 전송을 위해 쓰이는 것이다. 또한 하이퍼텍스트 문서만이 아니라 음성, 화상, 데이터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데이터 형식을 MIME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으로 정의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요구/응답 (request/response, i.e., stateless) 동작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HTTP 프로토콜의 한 가지 특징은 데이타 표현의 형태 및 협상에 관한 것이며 전송하는 데이타에 독립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이 문서의 내용은 HTTP/1.0 버전 다음 단계인 HTTP/1.1 버전에 관한 것이다.
Keywords:
HTTP, Protocol, BNF, Message, Header, Request, Response, Entity, Method, Proxy, Cache, Content Negotiation, Access Authentication
Status:
이 문서는 ftp://ftp.ietf.org/rfc/rfc2068.txt 문서에 대해 ftp://ds.internic.net/rfc/rfc1945.txt 문서의 비교 관점에서 요약 정리를 한 것이며, 본문 속에 들어있는 대부분의 내용이 빠진채 작성된 것이다. 내용을 대폭 보완한 새로운 문서는 Korean Version 2.0에서 제공될 예정이다. 본 문서인 Korean Version 1.0이 위치하는 곳은 http://pec.etri.re.kr/~qkim/HTTP/http11v1.html 이며, Korean Version 2.0이 위치하는 곳은 http://pec.etri.re.kr/~qkim/HTTP/http11v2.html 이다. WWW에서 사용하는 각종 프로토콜에 대한 문서 정리는 http://pec.etri.re.kr/~qkim/HTTP/에 정리되고 있으며 문서 내용의 변경에 대한 알림글이 있다.

1. 서론

HTTP/0.9로서 표기되던 초기 HTTP 프로토콜은 인터넷을 통해 데이타 그대로 송수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매우 단순한 프토토콜이다. 그래서 기능의 향상을 위해 HTTP/1.0 프로토콜을 설계하여 메시지를 MIME과 비슷한 형식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하고 전송하는 데이타에 대한 외형 정보를 전달하고 요구/응답 체계에 있어서의 표현식을 보강하였다.
그러나 HTTP/1.0에는 계층적 구조의 프락시 서버와 캐싱에 대한 고려가 없고 상시 연결 (persistent connection) 및 가상 호스트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언급도 없다. 더우기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각각의 모든 처리 능력에 대한 협상 또는 결정에 대한 어떤 기능도 지원되지 않으므로 프로토콜 버전의 변경과 함께 기능 향상을 도모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능 향상되는 HTTP/1.0 프로토콜을 HTTP/1.1로 이름 붙이기로 하였다. HTTP/1.1에서는 향상된 기능을 신뢰성 있게 구현하기 위해 보다 엄밀한 요구사항들을 정의하고 있다.

2. HTTP/1.0 프로토콜의 문제점

HTTP/1.0 프로토콜의 특징은 단순성에 있다. 그래서 연결을 만들고 동작하고 연결을 해제하는 단순한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URL은 하나의 TCP 연결이 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연결의 설립/동작/해제의 단순 동작이 계속 반복됨으로해서 네트워크의 congestion에 대한 정보를 확보할 수가 없었다. 연결이 계속 지속되어 있다면 정보 축적과 분석을 통해 트래픽의 혼잡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잦은 연결 설립과 동시에 여러 개의 연결을 설립하는 동작을 통해 bandwidth가 낮은 링크에서 congestion 문제의 가능성을 높이고 사용자에게는 불만족스런 성능을 제공해주게 된다.
캐시 모델의 미흡함도 문제이다. 캐싱에 관해 설계한 모델이 초기적인 형태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동작상의 오버헤드도 만들고 캐시된 데이타 관리에도 문제를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추가적인 고려 사항을 반영한 HTTP/1.1 프로토콜을 설계하게 된 것이다.

3. HTTP/1.1 프로토콜의 특징

이 문서에서는 HTTP/1.1의 전체 규격에 대한 상세 소개는 하지 않고, HTTP/1.0 버전과의 비교에 의한 주요 차이점만 살펴보도록 한다. HTTP/1.1에 대한 상세 소개는 다음 단계의 문서 정리 때 마무리하도록 한다.

3.1 용어 정의 (Terminology)

HTTP/1.1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들은 기본적으로 HTTP/1.0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 정의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으며, HTTP/1.1 추가 기능을 위한 상당수 새로운 용어 정의가 추가되었다.
HTTP/1.1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content negotiation이라고 하는 것이다. (???절 참조) 이와 관련된 용어 정의가 추가되었으며 representation, content negotiation, variant 등이다.
계층적인 프락시 및 캐시 기능이 HTTP/1.1의 특징이며 이를 위한 cachable, first-hand, explicit expiration time, heuristic expiration time, age, freshness lifetime, fresh, stale, semantically transparent, validator 등의 용어가 추가되었다.

3.2 프로토콜 파라미터

프로토콜 파라미터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변경되었다.
  • HTTP/1.0에서는 gzip과 compress만 허용되던 content-coding이 HTTP/1.1에서는 deflate까지 허용하고 있다. deflate는 RFC 1950과 RFC 1951을 참조하면 된다.
  • HTTP/1.1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안전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하여 entity body에 적용되는 인코딩 전달을 지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transfer-coding 파라미터가 추가되고 이를 이용하는 Transfer-Encoding 헤더 필드가 추가되었다.
  • Content negotiation을 함에 있어 여러 가지 협상 파라미터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명시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Quality Value를 사용하고 있으며 qvalue 파라미터가 추가되었다.
  • 사용자가 말하고 글로 쓰는 언어가 무엇인지 알릴 수 있는 language-tag가 추가되었고 이것을 이용하는 Accept-Language, Content-Language 헤더 필드가 또한 추가되었다.
  •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entity에 대한 비교를 위해 entity-tag가 추가되었고 이것을 이용하는 ETag, If-Match, If-None-Match, If-Range 헤더 필드가 추가되었다.
  • 클라이언트는 대상 자원의 일부분만 요구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응답 메시지에 일부분만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는 range-unit 파라미터가 추가되었고 이것을 활용하는 Range 및 Content-Range 헤더 필드가 추가되었다.

3.3 HTTP 메시지

메시지 구성 형식을 나타내기 위한 표현식이 HTTP/1.0에 비해 달라졌다. entity-body란 이름이 message-body란 이름으로 바뀌었으나 전체적으로 표현식만 달라졌을 뿐 실제 구성 형식은 HTTP/1.0과 같다. 그러나 각 헤더 에 포함되는 헤더 필드는 다수 추가되어 있으며 HTTP/1.0과는 달리 구성되어 있다.
General Header Field만 하더라도 기존의 Data, Pragma에 더해 Cache-Control, Connection, Transfer-Encoding, Upgrade, Via 등의 필드가 추가되어 있다.

3.4 Request

HTTP/1.0에서의 Request 메시지와 기본 구성 형식은 똑같으나 request-hader의 헤더 필드가 다수 추가되었고, 사용하는 method의 종류도 많이 늘어났다.
method는 HTTP/1.0에서 쓰이던 것들이 다음과 같다.
  • GET
  • HEAD
  • POST
이러한 method들에 추가하여 HTTP/1.1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OPTIONS
Request-URI에 의해 지정되는 자원에 대한 요구/응답의 관계에 있어 통신과 관련된 선택 사항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때 쓰인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어느 것을 선택할지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자원과 관련된 필요사항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의 수행 능력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다. 그러나 자원에 대한 어떤 동작을 수행시키거나 갖고 온다든지 하는 동작은 허용되지 않는다. 해당 자원에 허용되는 접근 방법들을 나열하는 Allow 헤더 필드가 통신 선택 사항의 예가 될 것이다. Content-Type은 예로서 적당하지 않다.
PU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를 지정한 Request-URI 장소에 그 이름으로 저장되게 한다. Request-URI 자리에 같은 것이 존재하고 있다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타 수정된 최근 자원이라고 간주하여야 한다. 만약에 존재하지 않고 있다면 새로운 자원으로서 Request-URI에 있는 URI로 저장되게 되며 브라우저에서는 이 URI로 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바로 이 점이 POST와의 차이점이다. POST에서는 이 URI로 활용 방법에 따라 이용할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DELETE
Request-URI에 지정되어 있는 자원을 서버에서 지울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TRACE
요구 메시지의 최종 수신처까지의 루프백 검사용으로 쓰인다. 즉,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요구 메시지가 거쳐가는 프락시나 게이트웨이의 중간 경로 및 최종 수신 서버까지 이르는 경로를 알아내는 데에 쓰인다. 이와 함께 사용되는 헤더 필드는 Max-Forwards라고 하는 것이며, 중간에 거쳐갈 프락시나 게이트웨이 경로의 최대 숫자를 지정하는 것이다.
request-header의 필드에는 HTTP/1.0의 것이 다음과 같으며,
  • Authorization
  • From
  • If-Modified-Since
  • Referer
  • User-Agent
HTTP/1.1에서는 위 필드에 더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추가되었다.
  • Accept
  • Accept-Charset
  • Accept-Encoding
  • Accept-Language
  • Host
  • If-Match
  • If-None-Match
  • If-Range
  • If-Unmodified-Since
  • Max-Forwards
  • Proxy-Authorization
  • Range

3.5 Response

HTTP/1.0에서의 Response 메시지와 기본 구성 형식은 똑같으나 response-hader의 헤더 필드가 다수 추가되었고, 상태 코드의 종류도 다수 늘어났다.
response-header의 필드에는 HTTP/1.0의 것이 다음과 같으며,
  • Location
  • Server
  • WWW-Authenticate
HTTP/1.1에서는 위 필드에 더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추가되었다.
  • Age
  • Proxy-Authenticate
  • Public
  • Retry-After
  • Vary
  • Warning

3.6 Entity

entity-hader의 헤더 필드가 다수 추가되었다. HTTP/1.0의 것이 다음과 같으며,
  • Allow
  • Content-Encoding
  • Content-Length
  • Content-Type
  • Expires
  • Last-Modified
HTTP/1.1에서는 위 필드에 더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추가되었다.
  • Content-Base
  • Content-Language
  • Content-Location
  • Content-MD5
  • Content-Range
  • ETag

3.7 Connections

TCP 연결 관점에서 데이타 송수신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시 연결 (persistent connection) 기능을 HTTP/1.0에서 추가하였다. 이에 따라 HTTP/1.1 프로토콜에 기반하는 모든 HTTP 연결은 상시 연결 기능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서버는 수립한 연결에 대해 일단 상시 연결이라고 간주해버린다.
그러므로 연결의 해제를 위한 수단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것이 Connection 헤더 필드가 되며 close란 파라미터가 서버로 전달되면 설립된 상시 연결은 해제되게 된다. 반대로 서버가 응답을 하고난 후에 연결을 해제하고자 한다면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에 Connection 헤더 필드를 넣어서 close 파라미터를 전달하면 된다.
이 기능에 따라 클라이언트는 '파이프라인(pipeline)'이라 불리우는 연속적으로 몇 개의 요구 메시지를 각각에 대해 응답을 받지 않은 상태임에도 보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서버는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순서대로 응답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3.8 Access Authentication

HTTP/1.0 규격에는 기본 인증 체계 (Basic Access Authentication, BAA)에 대한 규정만 있었으나 HTTP/1.1에는 프락시와 사용하는 Proxy-Authentication 필드와 Proxy-Authorization 필드가 추가되어 있으며, 또한 Digest Access Authentication (DAA) 부분도 추가되어 있다.[1] (BAA와 DAA란 용어는 손쉬운 표기를 위해 이 문서에서만 쓰이는 것이므로 다른 문서 속에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BAA 및 DAA와 혼동하지 않기 바란다.)
HTTP/1.0에서 사용되던 사용자 인증 방식은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 번호가 아무런 암호화 과정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달되던 것이어서 탈취 및 공격의 가능성이 있었으므로, 인증을 위한 정보를 보다 안전한 방법으로 전달하기 위해 Digest Access Authentication 방식을 사용한다.
DAA 방식도 BAA 방식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challenge-response 메카니즘으로 동작한다. Basic 방식에서와 같이 통신하는 양 쪽에서 둘 다 비밀번호를 공유한다는 점은 같다. 그러나 DAA 방식에서는 nonce value를 사용하고 있으며, 응답 메시지 속에 MD5 checksum 방식에 의해 인코딩된 사용자 아이디, 비밀번호, 주어진 nonce value, HTTP method, request-URI 등이 들어가지만, 비밀번호는 절대 clear text의 형태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 과정에서 서버에게 checksum이나 digest를 생성하는 데 쓰이는 알고리즘을 지정할 수 있게 하는 선택적 헤더가 있다. 여기서는 MD5 알고리즘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128-bits MD5 digest가 32개의 ASCII 문자로서 표현된다.
따라서 MD5 알고리즘에서 알려진 문제점들이 그대로 DAA 방식에서도 나타난다. 하지만 DAA는 BAA를 대치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며, 서버 측면에서의 비밀번호 시스템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문제점이기도 하다. 이 프로토콜은 kerberos 만큼 안전하지 못하고, client-side private-key 방식에 비해서도 안전하지 못하긴 하지만, 없는 것보다는 낫고, 또한 telnet, ftp에서 쓰이는 방식이나 BAA 방식보다는 더 좋은 방법이다.
그러므로 이것이 보안을 위한 완벽한 해결책이 될 수는 없으며, 또한 메시지 속의 실제 데이타는 암호화 되지도 않고 전달된다. DAA를 통해 달성하고자 했던 것은 BAA 방식이 가진 가장 심각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단순한 목적에 있기 때문에 DAA를 통해 완벽한 보안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대부분의 다른 인증 프로토콜에서 보더라도 공격에 대한 위험은 프로토콜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보안 정책이나 절차에 의해 좌우된다. Digest Access Authentication을 사용하더라도 이의 보안 강도는 구현 방식에 달려 있게 된다.
이러한 DAA 방식을 위해 WWW-Authenticate 헤더 필드와 Authorization 헤더 필드를 수정하였다. 여기에다 Authentication-info라고 하는 새로운 헤더 필드 하나가 DAA를 위해 추가되었다.[2]

3.9 Content Negotiation

대부분의 응답 메시지에는 요청된 대상 자원이 entity로서 포함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표현하기 위해 적절한 변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요청한 요구 메시지의 지정 사항에 가장 '적절한' 형태로 받아보고자 할 것이다.
예를 들어, gzip으로 압축되어 있는 자원을 클라이언트가 갖고 와서 압축을 풀고서 저장하게 할 수도 있고 적절한 viewer로 보여줄 수도 있으며 여러가지 viewer들 가운데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장 적절하다는 것은 선호도 문제 때문에 모든 사용자들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든 브라우저가 모든 종류의 데이타 형태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HTTP/1.1에서는 한 가지 대상 자원에 대해 몇 가지 형태의 선택 사양을 전달한다. 이 각각의 선택 정보를 'variant'라고 한다. 예를 들어 어떤 문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선택 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1. HTML, Korean
  2. HTML, English
  3. Postscript, Korean
  4. Postscript, English
content negotiation이란, 해당 문서를 갖고 오고자 할 때 사용자의 선호도 지정 사항과 클라이언트의 수행 능력에 따라서 가장 최상으로 합치되는 조건의 문서를 선택하여 가져와서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말한다.[3]
그러므로 사용자가 바라는 형태로 제공하기 위해 content negotiation이라고 하는 몇 가지 메카니즘을 HTTP/1.1에서는 제공한다. 다음과 같은 메카니즘이 제안되어 있다.[1]
Server-driven Negotiation
이것은 서버에 있는 알고리즘에 의해 여러 가지 선택안들 가운데 최상의 것이 결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의 선택은 서버 응답에 허용되는 것들과 클라이언트의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지정 사항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정보들을 이용하여 서버가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는 Accept, Accept-Language, Accept-Encoding 등의 헤더 필드를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서버에게 보낸다. 서버를 이들 정보를 보고서 결정하는 것이다.[1]
Agent-driven Negotiation
최상의 선택에 대한 결정을 서버로부터 최초 응답을 받고 난 후에 클라이언트가 하는 방식이다. 응답 메시지의 Alternates 헤더 필드에 있는 정보나 최초 응답의 entity-body 정보를 보고서 클라이언트가 결정한다.[1]
Transparent Nogotiation
이것은 위 두 방식을 결합한 것이다. 협상의 분산이 가능한 잇점을 갖고 있으며 두 방식의 장점들이 결합됨으로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방식이다.[1]
HTTP/1.1 문서와는 별도로 관리되고 있으며, 안정적인 상태로 정리되면 HTTP/1.1 문서에 들어가게 될 것이다.[3]

3.10 Caching in HTTP

HTTP/1.0 규격에서도 HTTP 프로토콜 동작 상의 데이타 캐싱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HTTP/1.1에서는 이 기능이 보다 잘 동작하게 하기 위한 많은 요소들이 추가되었는데, 그 목적은 많은 경우에 있어 데이타 요청을 위한 요구 메시지의 수를 줄이기 위함이고 또 다른 경우들에 있어 서버가 보내는 응답 메시지의 수를 줄이기 위함이다.
요구 메시지의 수를 줄이게 되면 네트워크의 round-trip의 횟수가 줄어드는데 이를 위해 expiration 메카니즘을 사용한다. 만약 응답 메시지의 수가 줄어들게 되면 네트워크의 bandwidth 용량을 보존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validation 메카니즘을 사용한다.
Expiration이란 서버가 요청받은 자원을 보낼 때 명확한 유효기간을 정해서 보내는 동작을 말한다. 이 날자가 지난 자원의 유효성은 보장하지 못하므로 서버로부터 새롭게 받아와야 하며, 유효기간 내의 자원이라면 요구 메시지를 보내지 않더라도 캐시되어 있는 자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Validation이란 캐시되어 자원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캐시 데이타가 있다면 먼저 서버와 해당 데이타를 사용할 수 있는지 유효성 검사를 해야 한다.

3.11 헤더 필드 정의

앞에서 언급했던 많은 헤더 필드들이 HTTP/1.1에서 추가되었다. 상세한 기능 설명은 다음에 개정될 문서에서 다루도록 하고, 여기서는 주목되는 특징적 필드만 언급하도록 한다.

3.11.1 Host

이렇게 추가된 필드들 가운데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에 여러 개의 서버를 구성할 수 있는 Multi-Homed 기능을 프로토콜 차원에서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 있다. HTTP/1.0에서는 서버 프로그램의 구현상 가능했던 기능이며 이 경우에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에 추가하고자 하는 서버 홈의 갯수만큼 IP 주소를 지정했어야 했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는 한 대일지라도 할당된 IP 갯수만큼의 서버 홈을 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HTTP/1.0에서는 하나의 호스트에 하나의 IP 주소만 가지고도 이런 기능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다만 DNS 시스템에 등록되는 여러 개의 이름 주소는 같은 IP 주소로 등록되어야 한다. 즉, 다양한 도메인의 다양한 이름 주소라 할지라도 모두 같은 IP 주소로 등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기능을 하는 것이 Host라고 하는 헤더 필드이다. 예를 들어,
http://pec.etri.re.kr/~qkim/HTTP/
위와 같은 URL이 요구 메시지에 포함될 때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구성된다.
GET /~qkim/HTTP/ HTTP/1.1 Host: pec.etri.re.kr
그러므로 같은 IP를 사용하는 같은 호스트라 할지라도 포함되어 있는 Host 정보를 통해 어느 홈을 가리키는지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3.11.2 Range

모든 HTTP entities는 HTTP 메시지 내에 일련의 바이트열로서 포함된다. 따라서 이 가운데 일정 부분의 바이트만 요구하고 서비스받는 것은 아주 편리한 기능이다. 이를 위해 원하는 바이트 영역을 표시하여 가져올 수 있게 하며, 추가된 헤더 필드는 Range이다.

3.11.3 Upgrade

General 헤더에 속하는 헤더 필드이다.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지원할 수 있는 추가적인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만약 서버가 프로토콜 변환을 할 수 있다면 클라이언트는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하고자 하는지 Upgrade 헤더 필드를 통해 서버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만약 서버가 프로토콜 변환을 할 수 있다면, 서버는 반드시 101 (Switching Protocols) 응답 메시지 속에 Upgrade 필드를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 이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Upgrade = "Upgrade" ":" 1#product
이의 예를 들자면 아래와 같다.
Upgrade: HTTP/2.0, SHTTP/1.3, IRC/6.9, RTA/x11
이러한 헤더 필드를 통해 HTTP/1.1 프로토콜에서 개정된 새로운 HTTP 프로토콜로의 변환이나, 또는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로의 변환이 손쉽게 가능하게 된다.
이때 Upgrade 헤더 필드는 클라이언트와 처음 나타나는 중간 프락시나 게이트웨이 사이에서와 같이 중간 연결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메시지가 오가는 전체 연결에 대해서 적용하기 위해서는 Upgrade 헤더가 필드가 존재하는 모든 메시지에 대해 Connection 헤더 필드도 존재하여야 한다.

4. To the Future

HTTP/1.1 다음 버전에서 논의될 것들이 거론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Hit Count
캐시되어 있는 데이타에 대해 hit ratio를 파악할 수 있게 하여 캐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Compressed Protocol
sticky header를 사용하는 것인데, 무엇을 목표로 하는 것인지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1996. 11. 7. 현재)
Multiplexing
multiplexing 기법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TCP 연결을 만들지 않더라도 해당 HTTP 메시지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PEP
HTTP 프로토콜에 사용자가 직접 설계한 프로토콜을 추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5. Out of Scope of HTTP/1.1:
HTTP State Management Mechanism

[4]
HTTP 프로토콜 상의 상태 관리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오가는 요구 및 응답 메시지에서 오가는 상태 정보를 일관적으로 다루기 위함이다. HTTP는 stateless로서 연속적으로 보내는 요구 메시지들 사이에 아무런 관련성을 부여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같은 보안 영역 속에 있는 자원들을 연속적으로 요청하고자 한다면 매번 사용자 인증의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이것이 많이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HTTP/1.0이나 HTTP/1.1 규격 두 곳 모두에 아직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별도의 드래프트 문서로서 존재한다.
여기서는 동작 개념에 대한 개략만 언급하기로 한다.

5.1 State & Sessions

예를 들자면, 소비자가 상점에 가서 필요한 여러 물건들을 집어드는 동작과 장바구니에 담는 동작은 여러 번의 요구/응답 상황과 완벽하게 일치하며 각각의 물건 선택과 담는 것들은 서로 상관관계가 없다. 하지만 소비자가 필요한 물건을 구입하고자하는 한 가지 목적 하에 움직이고 있는 것이므로 이것이 세션의 의미가 된다. 저녁 반찬거리 구입이 바로 한 가지 세션의 의미인 것이다.
쿠키의 교환에 의해 생성되는 세션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1. 각 세션은 시작과 끝이 존재한다.
  2. 각 세션은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만 존재한다.
  3.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 어느 쪽이라도 세션을 해제할 수 있다.
  4. 세션이란 상태 정보의 교환이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아래에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상태 정보 교환에 대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5.2 서버의 역할

5.2.1 일반적 동작

서버는 세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서버는 응답 메시지에 Set-Cookie라고 하는 추가적인 헤더 필드를 보내도록 한다.
클라이언트는 세션을 지속시키자 결정할 경우에 서버를 향해 요구 메시지에 Cookie 헤더 필드를 보내도록 한다. 서버는 이 정보를 무시할 수도 있고 세션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같은 정보 또는 다른 정보를 Set-Cookie 헤더 필드를 통해 보낼 수도 있고, 또흔 전혀 안 보낼 수도 있다. 서버가 세션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Max-Age=0란 정보를 Set-Cookie 헤더 필드에 실어서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면 된다.
이때 서버는 하나의 응답 메시지에 여러 개의 Set-Cookie 헤더 필드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중간 게이트웨이에서는 이런 여러 개의 헤더 필드를 하나의 필드로 하여 보낼 수 있어야 한다.
Set-Cookie 헤더 필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set-cookie = "Set-Cookie:" cookies cookies = 1#cookie cookie = NAME "=" VALUE *(";" cookie-av) NAME = attr attr = token VALUE = value value = word cookie-av = "Comment" "=" value | "Domain" "=" value | "Max-Age" "=" value | "Path" "=" value | "Secure" | "Version" "=" 1*DIGIT

5.2.2 캐싱 관리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 자원과 Set-Cookie 헤더에 대한 캐싱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타인에게 보여서는 안 되는 문서나 다른 사람들과 공유해서는 안 되는 Set-Cookie 정보가 캐시로서 남아있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만약 다른 사람들과 공유해도 되는 Set-Cookie 헤더라면 캐시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서버는 응답 메시지의 헤더에 조건에 따라서 추가적인 헤더 필드를 선택적으로 보내어야 한다. 예를 들어, Set-Cookie를 캐시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은 헤더 필드를 보내야 한다.
Cache-control: no-cache="set-cookie"
만약 개인적 정보라서 해당 자원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지 않게끔 할려면 다음과 같은 헤더 필드를 보내서 공유 캐시 영역에 캐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Cache-control: private

5.3 클라이언트 역할 (User Agent Role)

5.3.1 Set-Cookie 적용

클라이언트에서는 각기 다른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Set-Cookie 응답을 통해 상태 정보를 별도로 관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Set-Cookie 속에 있는 지정 사항들을 적절하게 인식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5.3.2 Cookie 거부

몇 가지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면 보안이나 사생활 침해의 문제로 클라이언트는 쿠키를 거부할 수도 있다.

5.3.3 Cookie 관리

클라이언트가 현재 존재하는 쿠키와 같은 이름을 갖고서 이의 Domain이나 Path가 완전히 일치할 때 새로 도착한 쿠키가 기존의 것을 대치하게 된다. 하지만 새로 도착한 Set-Cookie가 Max-Age의 값을 0으로 가질 때 기존의 것이나 현재의 것이나 둘 다 삭제해버려야 한다. 이런 쿠키가 도착하지 않는다면 시스템 자원이 허용하는 한 쿠키들은 축적된다.
그러나 클라이언트가 쿠키를 저장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므로 오래된 쿠키를 지워야 하는데, 이때 least-recently-used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만약 Set-Cookie 헤더에 Comment를 포함하고 있다면, 클라이언트는 이 정보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정보의 형태로 쿠키와 함께 저장하여야 한다.

5.3.4 서버로의 쿠키 전달

클라이언트가 전송하는 요구 메시지에 대해 적용할 쿠키를 갖고 있을 때 서버에게 쿠키 요구 헤더를 다음에 따라서 보낼 수가 있다.
  • request-host
  • request-URI
  • cookie's age
여기서 Cookie의 구성 형식은 다음과 같다.
cookie = "Cookie:" cookie-version 1*((";" | ",") cookie-value) cookie-value = NAME "=" VALUE [";" path] [";" domain] cookie-sersion = "$Version" "=" value NAME = attr attr = token VALUE = value value = word path = "$Path" "=" value domain = "$Domain" "=" value

6. 참고자료

[1]
Roy Fieldin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1.1", Internet Draft (Text / PostScript), IETF HTTP WG, August 1996.
[2]
John Franks and others, "An Extension to HTTP: Digest Access Authentication", Internet Draft, IETF HTTP WG, September 1996.
[3]
Koen Holtman and Andrew Mutz, "Transparent Content Negotiation in HTTP", Internet Draft, IETF HTTP WG, September 1996.
[4]
David M. Kristol and Lou Montulli, "HTTP State Management Mechanism", Internet Draft (Text / PostScript), IETF HTTP WG, July 1996.